"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죽지 않고 돌아온 한달만입니다.
영상 편집을 처음 시작할 때, 모니터 선택을 단순히 화면 크기나 디자인만 보고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영상 편집용 모니터는 일반 모니터나 게이밍 모니터와는 다른 기준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영상의 색이 잘못 보정되면, 시청자가 스마트폰, 태블릿, TV, 모니터 등 다양한 기기에서 영상을 볼 때 색이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상 편집자의 역할은 어떤 기기에서도 일관되게 보이는 색을 구현하는 것이죠.
그래서 오늘은 영상 편집에 꼭 필요한 모니터 선택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해상도, 색 정확도, 패널, 밝기, 명암비, 주사율, 입력 단자 등 중요 요소를 하나씩 상세히 알려드릴 테니, 모니터를 처음 고르는 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겠습니다.
끝까지 읽고 나면, 가격대별 추천 모니터도 준비해 두었으니 꼭 끝까지 읽어보세요!
그리고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꼭 부탁드립니다! 😊
1.해상도(Resolution) – 선명한 화질을 위한 첫걸음
해상도가 중요한 이유
영상 편집은 단순히 화면을 보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단위의 디테일을 다루는 작업입니다. 해상도가 낮으면 영상의 노이즈, 색상 변화, 픽셀 단위의 디테일을 제대로 확인할 수 없어요.
- HD(1280x720): 유튜브 초창기 시절에 많이 사용. 이제는 영상 편집용으로 적합하지 않음.
- FHD(1920x1080): 기본적인 유튜브 콘텐츠 편집 가능. 그러나 4K 영상 편집에는 불편함.
- QHD(2560x1440): 유튜브, SNS 콘텐츠 편집에 최적. 가성비와 성능의 균형이 좋음.
- 4K UHD(3840x2160): 고화질 영상(4K, 6K, 8K)을 다루는 전문가에게 필수.
💡 최소 추천 사양: QHD(2560x1440)
💡 중급 사양: 4K UHD(3840x2160)
💡 고급 사양: 5K 이상(5120x2880) / 6K(6016x3384)
2. 색 정확도(Color Accuracy) – 영상의 생명은 색이다
왜 색 정확도가 중요한가?
영상 편집 시 시청자가 보는 색이 편집자가 본 색과 다르다면 콘텐츠의 품질이 떨어집니다.
색 정확도를 확인할 때는 **색 공간(Color Gamut)**을 확인하세요.
- sRGB: 일반적인 웹 콘텐츠 및 유튜브 영상 제작에 적합.
- AdobeRGB: 사진 편집(라이트룸, 포토샵) 및 영상 편집에 필수.
- DCI-P3: 영화와 영상 콘텐츠 제작 표준. 유튜브 영상도 DCI-P3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Rec.709: TV 방송 기준 색 공간.
💡 최소 추천 사양: sRGB 100% 이상
💡 중급 사양: DCI-P3 90% 이상
💡 고급 사양: AdobeRGB 99%, DCI-P3 98% 이상
🔍 추가 체크 포인트
- Delta E: 2 이하면 정확한 색 표현 가능.
-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지원: 시간이 지나도 색상 유지 가능.
3. 패널 종류 – 패널 선택이 색 품질을 결정한다
모니터 패널은 크게 IPS, VA, TN으로 나뉩니다.
- IPS(광시야각 패널): 색 정확도와 시야각이 뛰어나 영상 편집에 가장 적합.
- VA(고명암비 패널): 명암비는 좋지만 색 정확도가 떨어짐.
- TN(응답속도 패널): 게이밍 전용. 영상 편집에는 부적합.
💡 최소 추천 사양: IPS 패널
💡 중급 사양: IPS 패널 + 10bit 컬러
💡 고급 사양: Nano IPS / Mini-LED / OLED
4. 색 보정 기능 &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지원
영상 편집자는 시간이 지나도 모니터의 색상이 일관되게 유지되길 원합니다.
-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 프로그램(예: DisplayCAL)로 색을 보정하지만 소프트웨어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모니터 자체가 내부 칩셋으로 색을 조정하여 색의 일관성이 뛰어남.
💡 최소 추천 사양: 소프트웨어 캘리브레이션
💡 중급 사양: 공장 색 보정(Calibrated) 제품
💡 고급 사양: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 전용 측정기(X-Rite, Datacolor)
5. HDR 지원(HDR Capability)
영상 편집 시 HDR 콘텐츠 제작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 HDR10: 유튜브, OTT 플랫폼에서 지원.
- Dolby Vision: 영화 제작용.
- DisplayHDR 400/600/1000: 수치가 클수록 밝기와 명암비 우수.
💡 최소 추천 사양: HDR10 + DisplayHDR 400 이상
💡 중급 사양: DisplayHDR 600 이상
💡 고급 사양: DisplayHDR 1000 이상(콘텐츠 제작 전문가용)
6. 밝기(Brightness)
모니터의 밝기는 명암과 색의 디테일을 정확히 보기 위한 필수 요소입니다.
- 300cd/m²: 일반적인 환경에서 적당.
- 400cd/m²: 영상 편집을 위한 적절한 밝기.
- 600cd/m² 이상: HDR 콘텐츠 제작에 필수.
💡 최소 추천 사양: 300~350cd/m²
💡 중급 사양: 400cd/m²
💡 고급 사양: 600cd/m² 이상
7. 명암비(Contrast Ratio)
명암비는 화면 속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의 차이를 나타내는 수치입니다.
- 1000:1 → IPS 모니터의 표준.
- 3000:1 이상 → VA 모니터의 강점.
- OLED → 무한대:1 → 완벽한 블랙 표현 가능.
💡 최소 추천 사양: 1000:1
💡 중급 사양: 1500:1
💡 고급 사양: OLED(무한 명암비)
8. 주사율(Refresh Rate)
주사율은 1초에 화면을 몇 번 갱신하는지를 나타냅니다.
- 60Hz: 기본 편집에는 충분.
- 120Hz~144Hz: 타임라인 탐색 시 부드러움.
- 240Hz 이상: 게임 전용.
💡 최소 추천 사양: 60Hz
💡 중급 사양: 75~120Hz
💡 고급 사양: 144Hz 이상(모션그래픽 작업 시 유리)
9. 입력 단자(Connectivity)
영상 편집 장비와 모니터의 연결은 필수입니다.
- HDMI 2.0/2.1: 기본 연결.
- DisplayPort 1.4 이상: 고해상도 & 고주사율 전송.
- USB-C(썬더볼트 3/4): 노트북과 원케이블 연결.
💡 최소 추천 사양: HDMI 2.0 / DP 1.4
💡 중급 사양: HDMI 2.1 / DP 1.4
💡 고급 사양: USB-C(썬더볼트 4) 지원
🎯 💻 가격대별 추천 모니터 리스트 (2025 최신)
가격대 모델명 특징
가격 | 모델명 | 특이사항 | 링크 |
10만원대 | LG 24MK600 | FHD, IPS, sRGB 99% | https://link.coupang.com/a/ceM8fp |
알파스캔 24G2 | FHD, IPS, 광시야각 | https://link.coupang.com/a/ceM8wh | |
20만원대 | 한성 TFG27F14 | QHD, IPS, sRGB 99% | https://link.coupang.com/a/ceM8K7 |
뷰소닉 VX2776 | QHD, 75Hz | https://link.coupang.com/a/ceM8U5 | |
30만원대 | 삼성 S32A600 | QHD, HDR10, sRGB 100% | https://link.coupang.com/a/ceM9jG |
LG 27UL500 | 4K UHD, IPS | https://link.coupang.com/a/ceM9qC | |
40만원대 | Dell S2722QC | 4K UHD, USB-C | https://link.coupang.com/a/ceM9w0 |
LG 32UN650 | 4K UHD, HDR10 | https://link.coupang.com/a/ceM96y | |
50만원대 | BenQ PD2700Q | QHD, sRGB 100%, Calibrated | https://link.coupang.com/a/ceM9D7 |
LG 32UK550 | 4K UHD, VA 패널 | https://link.coupang.com/a/ceM9S9 | |
60만원대 | BenQ GW3290QT | QHD, AdobeRGB 100%,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 https://link.coupang.com/a/ceNbGo |
LG 32UN880 | 4K UHD, Ergo 스탠드 | https://link.coupang.com/a/ceNb5M | |
70만원대 | ASUS ProArt PA32UCX | 4K UHD, DCI-P3 98% | https://link.coupang.com/a/ceNcc6 |
BenQ EX3501R | 울트라와이드, HDR400 | 단종 | |
80만원대 | Dell U2723QE | 4K UHD, IPS Black, 120Hz | https://link.coupang.com/a/ceNehJ |
BenQ PD3420Q | 4K UHD, HDR10 | 단종 | |
90만원대 | LG 32GQ950 | 4K UHD, Nano IPS, HDR1000 | https://link.coupang.com/a/ceNiyb |
ASUS ProArt PA32UCX-K | 4K HDR,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 | https://link.coupang.com/a/ceNioQ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 마무리 – 당신의 작업 스타일에 맞는 모니터를 선택하세요!
영상 편집을 위한 모니터 선택은 단순히 해상도와 크기만 고려해서는 안 됩니다. 색 정확도, 패널 유형, 밝기, 명암비, 입력 단자까지 꼼꼼히 확인해야 하죠.
- 가성비를 원한다면? → LG 27UL500 (30만원대)
- 전문가용 컬러 그레이딩 → Eizo ColorEdge CG319X (100만원대)
영상 편집을 위한 모니터를 찾고 계신다면, 오늘의 가이드를 참고하여 나에게 꼭 맞는 제품을 선택해 보세요.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공감 한 번씩 부탁드립니다!
'편집 및 작업환경 추천 IT제품 > 주변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쿠팡 광고 포함]2025년 영상 편집자를 위한 PC용 풀배열 & 휴대용 블루투스 키보드 추천 BEST 10 (0) | 2025.03.17 |
---|---|
[쿠팡 광고 포함]영상 편집자를 위한 최고의 마우스 | MX Master 3S & MX Anywhere 3S 추천 (0) | 2025.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