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편집을 도와드리는 한달만의 Edit Copilot

영상편집 TIP/편집 honey TIP!!

🎬영상 편집 필수 용어 총정리! 초보자도 이 글 하나로 완벽 마스터

한달만_ 2025. 3. 23. 12:18
반응형

🎬 영상 편집 용어 완벽 정리 – 초보자도 쉽게 배우는 편집 필수 용어 가이드

안녕하세요! 오늘도 죽지 않고 돌아온 한달만입니다. 😊
영상 편집을 처음 시작하거나 업계에서 활동하다 보면 다양한 영상 편집 용어를 접하게 됩니다. 특히 프리미어 프로(Premiere Pro), 다빈치 리졸브(DaVinci Resolve), 파이널 컷 프로(Final Cut Pro)와 같은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편집 용어를 모르고 있으면 작업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게 됩니다.

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영상 편집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필수 용어들을 최신 SEO 키워드와 함께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꼼꼼히 정리했으니 필요할 때마다 참고하세요!


1. 기본적인 영상 편집 용어 정리

1-1 컷 (Cut)

👉 영상 편집에서 가장 기본적인 개념으로, 영상을 자르거나 이어 붙이는 행위입니다. 흔히 유튜브 영상에서 빠르게 장면이 바뀌는 편집을 볼 때마다 사용됩니다.

1-2 컷 편집 (Cut Editing)

👉 영상 클립을 효과 없이 단순히 연결하여 자연스러운 흐름을 만드는 편집 기법입니다. 브이로그나 인터뷰 영상에서 깔끔한 흐름을 만들 때 필수적입니다.

1-3 트랜지션 (Transition)

👉 두 장면 간의 자연스러운 전환 효과입니다. 대표적으로 페이드 인/아웃, 디졸브, 와이프 등이 있으며, 영상을 부드럽게 연결하거나 감정선을 이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 페이드 인/아웃 (Fade In/Out): 화면이 점점 밝아지거나 어두워지면서 장면이 시작되거나 끝나는 기법입니다.
  • 디졸브 (Dissolve): 장면이 겹치면서 서서히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는 효과로, 감성적인 영상에 많이 쓰입니다.
  • 점프 컷 (Jump Cut): 같은 장면에서 빠르게 화면을 전환해 긴장감을 높이거나 시간을 압축할 때 사용합니다. 유튜브 편집에서 가장 자주 볼 수 있습니다.

2. 영상의 흐름을 조절하는 용어

2-1 B-roll (비롤)

👉 주요 영상(A-roll)을 보완하는 보조 영상으로, 이야기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추가로 삽입하는 장면입니다. 다큐멘터리, 인터뷰, 브이로그 등에서 필수입니다.

2-2 타임라인 (Timeline)

👉 영상 편집 프로그램 내에서 클립을 시간 순서대로 배열하는 작업 공간입니다. 프리미어 프로, 파이널 컷 프로 등 모든 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됩니다.

2-3 프레임 레이트 (Frame Rate, fps)

👉 영상이 1초당 보여주는 이미지 수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24fps(영화적 느낌), 30fps(표준 영상), 60fps(부드러운 움직임) 등으로 나뉩니다.

2-4 속도 램핑 (Speed Ramping)

👉 영상의 속도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는 편집 기술입니다. 특히 슬로우 모션과 패스트 모션을 자연스럽게 연결하여 극적인 효과를 만듭니다.

2-5 슬로우 모션 (Slow Motion)

👉 영상을 느리게 재생해 특정 장면을 강조하거나 감정을 표현할 때 사용합니다.

2-6 패스트 모션 (Fast Motion)

👉 영상을 빠르게 재생하여 시간을 단축하거나 역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할 때 사용됩니다.


3. 색보정과 사운드 관련 용어

3-1 컬러 그레이딩 (Color Grading)

👉 영상에 특정 분위기나 감성을 입히기 위해 색상을 보정하는 작업입니다. 영화나 시네마틱 영상에서 반드시 사용됩니다.

3-2 LUT (룩업 테이블)

👉 미리 설정된 색감 프리셋으로, 간편하게 필름 톤이나 영화적 느낌을 영상에 적용할 때 사용됩니다.

3-2 화이트 밸런스 (White Balance)

👉 영상에서 흰색이 자연스럽게 표현되도록 색온도를 맞추는 작업입니다. 실내외 촬영 환경에 따라 조정이 필요합니다.

3-3 오디오 싱크 (Audio Sync)

👉 영상과 오디오가 따로 녹음된 경우 소리가 화면과 일치하도록 맞추는 작업입니다.

3-4 노이즈 리덕션 (Noise Reduction)

👉 음성 녹음 중 발생한 잡음을 제거하여 오디오 품질을 향상시키는 작업입니다.


4. 크리에이터가 자주 쓰는 고급 편집 용어

4-1 멀티캠 (Multi-Cam Editing)

👉 여러 대의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하나의 타임라인에서 동시에 편집하는 방식입니다. 방송, 뮤직비디오, 인터뷰 촬영에서 필수적입니다.

4-2 키프레임 (Keyframe)

👉 특정 지점에 효과를 설정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를 줄 수 있는 기능으로, 애니메이션 효과에 주로 사용됩니다.

4-3 마스킹 (Masking)

👉 영상 내 특정 영역만 선택하여 효과를 적용하는 기술입니다. 얼굴 모자이크, 특정 부분만 색상 변경 등에 활용됩니다.

4-4 그린 스크린 (크로마 키)

👉 초록색 배경에서 촬영 후 배경을 제거하고 다른 화면을 합성하는 기법입니다. 영화 및 유튜브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4-5 트래킹 (Tracking)

👉 영상 속 움직이는 대상에 효과나 자막 등을 자동으로 따라가게 만드는 기술로, 역동적인 모션 그래픽 연출이 가능합니다.


영상 편집 용어를 알아두면 좋은 이유 🎯

영상 편집 용어를 제대로 알고 있으면 편집 프로그램에서 작업 속도를 높이고 보다 창의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어 프로, 다빈치 리졸브와 같은 업계 표준 프로그램에서 이런 용어들은 메뉴나 기능으로 자주 등장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

앞으로도 최신 영상 편집 트렌드와 편집 팁을 공유할 예정이니, 유용하셨다면 공감과 구독 부탁드립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