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적의 영상 편집 PC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무엇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최신 사양의 CPU와 GPU를 선택하면 된다"라고 생각하지만,
프리미어 프로(Premiere Pro)와 애프터 이펙트(After Effects)는 각각 다른 성능 요구사항을 가지기 때문에,
단순히 최고 사양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에 맞춘 최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4K 편집 환경을 고려할 때, CPU와 GPU뿐만 아니라 RAM과 스토리지(NVMe SSD)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습니다.
이 글에서는 프리미어 프로 & 애프터 이펙트의 최적 성능을 위한 PC 조합을 비교하고, 가성비와 성능을 모두 고려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1. CPU 선택이 중요한 이유
편집용 PC를 구성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것은 CPU 선택입니다.
CPU 성능이 편집 속도와 작업 효율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 이펙트는 CPU의 활용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 프로그램에 따라 적절한 CPU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MD CPU 특징
- 멀티코어 성능 강력 → 무거운 작업 & 8K 편집에 유리
- 가성비 우수 → 중급 & 고급 작업에서 비용 대비 높은 성능 제공
- 전력 효율이 좋음 → 낮은 발열 & 저전력 시스템 구성 가능
- XMP 지원 & 메모리 오버클러킹 성능 강력
- 7000번대 CPU 메인보드는 차세대까지 지원 가능
인텔 CPU 특징
- 퀵 싱크(Quick Sync) 지원 → 빠른 H.264 / H.265 인코딩
- 싱글코어 성능 우수 → 타임라인 재생 & 효과 적용 속도 뛰어남
- DDR5 + PCIe 5.0 지원 & 메인보드 호환성 좋음
- 게이밍 성능 강력 → 144Hz / 240Hz 환경에서 유리
2. 비교 기준
- 공정한 비교를 위해 같은 시기에 출시된 CPU를 기준으로 성능을 평가했습니다.최고의 성능을 원한다면 무조건 최상급 사양을 선택하면 되지만, 현실적으로 가성비를 고려한 4K 편집 기준으로 최상의 조합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교 대상 CPU
- Intel Core i7-13700K / i5-13600K
- AMD Ryzen 9 7900X / Ryzen 7 7700X
비교 대상 시스템 구성
- GPU: NVIDIA RTX 4090
- RAM: 64GB DDR5
- 메인보드: MSI B760M 박격포 (Intel) / MSI B650M 박격포 (AMD)
비교할 핵심 요소
- 프리미어 프로 & 애프터 이펙트에서의 프리뷰 속도, 효과 적용 속도, 4K 영상 편집 & 내보내기 속도
- CPU 멀티코어 & 싱글코어 성능 비교
- 전력 소모 & 발열 비교
- 가성비(성능 대비 가격)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프리미어 프로 & 애프터 이펙트 성능을 비교하겠습니다.
3. CPU 스펙 비교
CPU | 코어/ 스레드 | 기본 클럭 | 최대 부스트 클럭 | L3 캐시 | 전력 소모 |
Intel Core i7-13700K | 16코어 / 24스레드 | 3.4GHz | 5.4GHz | 30MB | 125W |
Intel Core i5-13600K | 14코어 / 20스레드 | 3.5GHz | 5.1GHz | 24MB | 125W |
AMD Ryzen 9 7900X | 12코어 / 24스레드 | 4.7GHz | 5.6GHz | 64MB | 170W |
AMD Ryzen 7 7700X | 8코어 / 16스레드 | 4.5GHz | 5.4GHz | 32MB | 105W |
주요 차이점
- 멀티코어 성능: Ryzen 9 7900X > i7-13700K > i5-13600K > Ryzen 7 7700X
- 싱글코어 성능: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전력 효율: Ryzen 7 7700X > i5-13600K > i7-13700K > Ryzen 9 7900X
4. 프리미어 프로 & 애프터 이펙트 성능 비교
- 프리미어 프로(Premiere Pro)와 애프터 이펙트(After Effects)는 CPU와 GPU를 활용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따라서 프리뷰(실시간 재생 속도), 효과 적용 속도, 내보내기(렌더링) 속도에서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프리미어 프로 | 애프터 이펙트 | |
CPU 영향도 | 멀티코어 활용도가 높음 | 싱글코어 성능 & L3 캐시 중요 |
GPU 영향도 | CUDA 가속 (GPU 중요) | GPU 영향도 낮음, CPU + RAM 중요 |
멀티코어 활용 | 높음 (H.264/H.265 인코딩 시) | 낮음 (싱글코어가 더 중요) |
프리뷰 속도 | CPU + GPU 가속 활용 (NVENC & CUDA 중요) | 싱글코어 성능에 크게 의존 |
효과 적용 속도 | 일부 GPU 가속 지원, CPU 의존도 높음 | CPU & RAM 의존도 높음 |
내보내기 속도 | NVENC, Quick Sync 활용 가능 | CPU 코어 개수 & 클럭 속도가 중요 |
결론:
- 프리미어 프로는 멀티코어 활용이 더 중요하지만, 애프터 이펙트는 싱글코어 성능과 캐시 크기가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
- 프리뷰 속도는 GPU 가속이 가능한 프리미어 프로가 상대적으로 빠르며, 애프터 이펙트는 CPU 성능과 RAM 용량에 영향을 받습니다.
- 내보내기(렌더링) 속도는 프리미어 프로에서 GPU 가속을 활용할 수 있지만, 애프터 이펙트는 CPU 멀티코어 성능이 중요합니다.
4-1. 프리뷰 & 타임라인 반응 속도 비교
프리미어 프로 프리뷰 성능
프리미어 프로는 GPU 가속을 적극 활용하여 CUDA, NVENC, Quick Sync 등의 기술을 통해 프리뷰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프리뷰 성능 순위: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i7-13700K는 싱글코어 성능이 뛰어나며, Quick Sync 지원으로 실시간 재생 속도가 빠름
- i5-13600K도 충분히 빠르지만, 다중 레이어 프로젝트에서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음
- Ryzen 9 7900X는 멀티코어가 강하지만, 프리미어 프로에서는 싱글코어 성능이 다소 부족
애프터 이펙트 프리뷰 성능
애프터 이펙트는 GPU보다 싱글코어 성능과 L3 캐시 용량이 중요합니다.
프리뷰 성능 순위: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애프터 이펙트는 싱글코어 성능이 중요한 프로그램이므로 i7-13700K가 가장 빠름
- Ryzen 9 7900X도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i7-13700K보다는 UI 반응 속도가 약간 느릴 수 있음
- i5-13600K와 Ryzen 7 7700X는 다중 레이어 작업 시 성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음
4-2. 효과 적용 속도 비교
- 프리미어 프로와 애프터 이펙트는 일부 GPU 가속을 활용하지만, 대부분의 효과는 CPU 성능에 의존합니다.
프리미어 프로 효과 적용 속도
효과 적용 속도 순위: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싱글코어 성능이 높은 인텔 CPU가 Lumetri 컬러, 블러, 트랜지션 등에서 유리
- 멀티코어 성능이 강한 Ryzen 9 7900X는 다중 효과 적용 시 유리하지만, 기본적인 효과에서는 인텔이 우세
- GPU 가속이 가능한 효과(디졸브, 일부 트랜지션)는 RTX 4090과 같은 고성능 GPU가 있으면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음
애프터 이펙트 효과 적용 속도
효과 적용 속도 순위: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모션 블러, 색 보정, 트래킹 등 무거운 이펙트는 CPU 영향을 많이 받음
- L3 캐시가 많은 Ryzen 9 7900X가 다중 레이어 작업에서는 유리
- GPU 가속을 지원하지 않는 효과(일반적인 텍스트 애니메이션 등)는 CPU 성능에 전적으로 의존
4-3. 내보내기(렌더링) 속도 비교
- 프리미어 프로는 NVENC(엔비디아 GPU)와 Quick Sync(인텔 CPU) 가속을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CPU 성능 차이가 크게 나지 않습니다. 반면, 애프터 이펙트는 GPU 가속이 제한적이므로 CPU 멀티코어 성능이 내보내기 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프리미어 프로 내보내기 속도
내보내기 속도 순위: i7-13700K ≈ Ryzen 9 7900X > i5-13600K > Ryzen 7 7700X
- NVENC, Quick Sync가 활성화되면 CPU 성능 차이가 크지 않음
- i7-13700K와 Ryzen 9 7900X가 거의 동일한 속도를 보이며 가장 빠름
- i5-13600K와 Ryzen 7 7700X도 빠르지만, 다중 레이어 프로젝트에서는 상대적으로 느려질 수 있음
애프터 이펙트 내보내기 속도
내보내기 속도 순위: Ryzen 9 7900X > i7-13700K > i5-13600K > Ryzen 7 7700X
- 멀티코어가 많을수록 렌더링 속도가 빨라지므로 Ryzen 9 7900X가 가장 빠름
- i7-13700K도 빠르지만, Ryzen 9 7900X보다는 약간 느릴 수 있음
- i5-13600K와 Ryzen 7 7700X는 다중 레이어 작업에서는 차이가 많이 날 가능성이 있음
5. 최종 추천
5-1. 최상의 성능을 원한다
- CPU: Intel Core i7-13700K
- GPU: NVIDIA RTX 4090
- RAM: 64GB
- 메인보드: MSI B760M 박격포 (메인보드는 더 상급으로 가셔도 됩니다.)
Premiere Pro & After Effects 모두에서 우수한 성능 제공하고 빠른 UI 반응 속도 & 효과 적용 속도가 빠르고 퀵 싱크 지원으로 인해 H.264, H.265 인코딩 속도 빨라집니다.
5-2. 가성비를 원한다.
- CPU: Intel Core i5-13600K
- GPU: NVIDIA RTX 4090
- RAM: 64GB
- 메인보드: MSI B760M 박격포 (메인보드는 더 상급으로 가셔도 됩니다.)
4K 편집도 가능하지만 레이어가 많아지면 성능 저하가 우려됩니다만 이 경우 프록시를 사용해서 해결 가능합니다. 그리고 고급 편집(영화, 모션그래픽)보다는 유튜브 영상 편집에 적합합니다.
5-3. 멀티코어의 성능을 원한다
- CPU:AMD Ryzen 9 7900X
- GPU: NVIDIA RTX 4090
- RAM: 64GB
- 메인보드: MSI B650M 박격포 (메인보드는 더 상급으로 가셔도 됩니다.)
Premiere Pro 멀티코어 활용 & 장시간 렌더링이 많다면 적합합니다. After Effects에서 다중 레이어 작업 시 안정적으로 작동합니다. 추가로 AMD에 경우 다음 세대까지 지금의 메인보드와도 호환이 가능하다고 하니 AMD CPU를 선택하셨다면 메인보드는 좋은 걸로 구매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FHD기준 편집 PC가성비
조건
- FHD(1080p) 편집 기준→4K보다 낮은 부담으로 초고사양이 필요하지 않음
- 가성비 최적화→ 불필요한 오버스펙 없이 비용 대비 최고의 성능
- 부드러운 타임라인 작업, 빠른 인코딩, 원활한 프리뷰
- 프록시 사용 가능→ CPU & GPU 부담이 적어짐
AMD
CPU | AMD Ryzen 5 7600X | 6코어 12스레드, FHD 편집에 충분한 성능 |
GPU | RTX 4060 Ti (8GB) | FHD 편집에는 RTX 4060 Ti면 충분 |
RAM | 32GB DDR5 6000MHz | FHD 편집에 충분한 용량, 가성비 좋은 DDR5 |
메인보드 | MSI B650M 박격포 | 확장성 우수, B650 칩셋으로 비용 절감 |
스토리지 | Samsung 970 EVO Plus 1TB NVMe | 빠른 캐싱, FHD 편집에는 1TB로 충분 |
- FHD 편집에서는 6코어 12스레드 CPU로도 충분한 성능
- RTX 4060 Ti가 CUDA 가속 지원 → 인코딩 속도 빠름
- RAM 32GB면 충분하지만, 확장성을 위해 DDR5 6000MHz 사용
- B650M 메인보드로 가성비 & 확장성 확보
intel
CPU | Intel Core i5-13400F | 10코어 16스레드, FHD 편집에는 충분한 성능 |
GPU | RTX 4060 Ti (8GB) | 가성비 좋은 GPU, NVENC 가속 지원 |
RAM | 32GB DDR5 5600MHz | FHD 편집에는 32GB로 충분 |
메인보드 | MSI B760M 박격포 | 가성비 & 확장성 우수 |
스토리지 | Samsung 970 EVO Plus 1TB NVMe | 빠른 캐싱, FHD 편집에는 1TB로 충분 |
- i5-13400F는 FHD 편집에서는 충분한 성능 제공
- RTX 4060 Ti NVENC 가속 지원 → 내보내기 속도 향상
- DDR5 5600MHz 메모리로 타임라인 반응 속도 최적화
- B760M 메인보드로 안정적인 시스템 구축 가능
가성비 세팅이긴 해도 프록시를 돌린다면 충분히 4k 작업까지 가능할 거라고 봅니다. 가성비 세팅이라 스토리지를 NVMe로 썼지만 m.2 ssd 1T 이상을 구매하는 걸 권장드립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게임 PC를 편집하면서 이용하긴 하는데 편집에 최소 RAM은 32GB입니다. 그리고 2 채널로 구성하는 걸 매우 권장드립니다.
마무리: 어떤 선택이 정답일까?
결국 자신이 어떤 작업을 주로 하는지에 따라 최적의 조합이 달라집니다.
- 프리미어 프로만 사용한다면 → 싱글코어 성능이 좋은 i7-13700K가 유리
- 애프터 이펙트만 사용한다면 → 캐시 메모리가 넉넉한 Ryzen 9 7900X가 유리
- 양쪽을 모두 고려한다면 → 전반적인 성능이 뛰어난 i7-13700K가 가장 안정적
최고 사양을 무조건 선택하는 것이 정답이 아닙니다. 예산, 작업 스타일, 편집 프로그램의 특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PC 조합을 선택하세요. 이제 여러분의 작업 스타일에 맞는 최적의 편집 PC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
'편집 및 작업환경 추천 IT제품 > PC 부품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고 포함]프리미어 프로 RAM 완벽 가이드 (DDR4 vs DDR5, 용량부터 추천 제품까지) (2) | 2025.03.29 |
---|---|
🎬영상 편집에 최적화된 NVIDIA 그래픽 카드 선택 가이드 (0) | 2025.02.08 |